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실업급여 부정수급 신고 제보 방법과 제재 알아보자

2023. 12. 16.

실업급여 부정수급 신고 란 실제로는 실업이 아닌데도 실업급여 를 부정 수급하는 행위를 가리킵니다. 이로 인해 정당한 수급자들에게 해를 끼치고, 공정한 사회를 위협하는 행위로 간주됩니다. 이 블로그 포스팅에서는 실업급여 부정수급 신고 의 개념과 관련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고용센터 찾아보기

 

실업급여 부정수급 신고란?

실업급여 부정수급 신고 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허위 신고 : 수급자격신청 시 피보험자격을 허위로 신고한 경우나 급여기초임금일액을 과다하게 기재한 경우 등 허위 정보 제공.
  2. 이직사유 허위 기재 : 이직사유를 허위로 기재하고 실업급여 를 수급하는 경우.
  3. 취업 사실 숨김 : 실업인정 시 취업한 사실을 숨기고 계속 실업인정을 받는 경우.
  4. 소득 미신고 : 자신의 근로에 의한 소득을 미신고하거나 허위로 신고하는 경우.
  5. 재취업 활동 허위 신고 : 재취업 활동 여부를 허위로 신고하는 경우.
  6. 취업촉진수당 허위 신고 : 취업촉진수당 수급을 위해 허위로 신고하는 경우.
  7. 상병급여 허위 신고 : 상병급여 수급을 위해 허위로 신고하는 경우.
  8. 대리 신청 : 수급자 외 타인(가족 포함)이 대리로 수급자격·실업급 인정을 신청하는 경우.

 

부정수급 신고 방법

만약 부정수급 사례를 발견하거나 의심한다면, 관할 고용센터로 전화하여 제보할 수 있습니다. 제보자의 신분은 비밀로 보장되며, 이러한 제보를 통해 부정수급 행위를 탐지하고 제재할 수 있습니다.

 

제재 및 처벌

부정수급 행위가 확인되면 다음과 같은 제재 및 처벌이 가해질 수 있습니다:

  1. 부정수급 액 반환 : 부정수급 액을 반환해야 합니다.
  2. 실업급여 지급제한 : 부정수급 행위로 인해 실업급여 지급이 제한됩니다.
  3. 부정수급 액 추가징수 : 부정수급 액의 최대 5배 금액을 추가로 납부해야 합니다.
  4. 법적 처벌 : 최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5. 구직급여 제한 : 10년간 3회 이상 부정수급 으로 실업급여 제한 시, 3년간 새로운 구직급여 수급자격이 제한됩니다.

자진신고 시 추가징수 등의 면제 혜택이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실업급여 수급자의 신고 의무

실업급여 수급자는 실업인정대상 기간 중에 취업한 사실이나 근로 소득이 있는 경우 반드시 실업인정일에 취업사실을 신고해야 합니다. 이를 신고하지 않으면 부정수급 사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래 표는 부정수급 사례 중 일부를 나열한 것입니다.

구분

유형

수급자격신청

피보험자격 취득 및 상실을 허위로 신고한 경우

급여기초임금일액산정의 기초가 되는 임금액을 과다하게 기재한 경우

이직사유를 허위로 기재한 경우 취업상태에서 실업하였다고 신고하는 경우

실업인정

취업한 사실은 숨기고 계속 실업인정을 받는 경우

자신의 근로에 의한 소득의 미신고 및 허위 신고

재취업 활동 여부를 허위로 신고한 경우

확정된 취직 또는 자영업 개시 사실을 미신고한 경우

기타

취업촉진수당 수급을 위해 각종 허위 신고를 한 경우

상병급여 수급을 위해 각종 허위 신고를 한 경우

수급자 외 타인(가족 포함)이 대리로 수급자격·실업급 인정을 신청한 경우

사업구분

포상금

 

상한액 (연간)

실업급여

부정수급액의 20%

1인당 500만원 (사업주 공모시 5천만원)

육아휴직급여,출산전후휴가급여 등

부정수급액의 20%

1인당 500만원

고용안정 직업능력개발

부정수급액의 30%

1인당 300만원

취업에 해당하는 경우

신고하지 않으면 부정수급이 되는 경우(구체적 사례)

 

 

고용센터 찾아보기

부정수급 제보하기

 

부정수급 을 제보하고 실업급여 의 공정한 지급을 돕는 데 기여하세요. 블로그에서 제공한 정보를 통해 부정수급 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정확한 정보를 활용하여 사회적 공정을 지키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 부정수급 자진신고하기

댓글